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2000부산국제아트페스티발

이전메뉴 다음메뉴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8 어디든 어디도 아닌

조회 16,029

관리자 2009-08-27 16:06

작가제여란
제여란의 작품을 보면서 중심과 평형잡기의 문제를 상기한 점에서는 그 나름의 이유가 있다. 물론 제여란의 작품 어느 구석에도 이런 문제를 교과서적으로 다루고 있지는 않다. 중심과 좌우평형이라는 역사적인 오랜 형식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더욱 아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추상화에서 볼 수 있는 좌우상하의 혼돈 가능성이나 오늘날의 미술에서 특히 현저한 것처럼 탈중심적인 화면과는 거리가 있다. 왜냐하면 이 작가의 화면은 화면 자체의 유기적인 형성에서 비롯되는 과정을 겪고 있기 때문에 그만큼 자연스럽고 또한 생동적일 수가 있는 것이다. 나 자신은 오랫동안 이런 일들을 생각해 왔다. 즉 화가들의 화면에 나타나는 일종의 조화, 즉 그것이 균형이 잡히고 평형을 갖는 배로 말하자면 중심축의 돛(balust)에 해당하는 질서체계가 중심이 되고 모든 여타 세부 요소들이 여기에 다양하게 규합함으로써 하나의 안정된 화면을 이루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점이다.
화가 제여란은 현대미술 특히 현대회화를 둘러싼 여러 문제들을 연구하면서 자신의 회화의 존재 의미에 더해서 근본적인 물음을 물어온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그것의 한 과정에서 그가 터득한 것이 이와 같은 중심과 평형잡기의 문제영역이 아닌가 생각한다. 그것을 과거의 형식과 틀에서 해방시켜 순수히 회화 본질의 문제로 접근하는 자기과제로 채택한 것이 아닌가 한다. 다시 말하자면 제여란의 최근 작품들을 보면 위에서 말한 이와 같은 중심이나 평형잡기의 고전적인 문제들이 회화의 한 근본문제로서 다시 떠올라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
- 박래경, 「작가탐구 -제여란의 작품세계」『공간』(1997년 7월)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