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2 로테이션(프로메테우스와 자웅동체)

조회 14,354

관리자 2013-03-25 09:32

작가하비에르 테레스
본전시


로테이션 (프로메테우스와 자웅동체)

이 설치 작품에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면서도 형태가 아주 다른 두 개의 조각을 중심으로 두 편의 35mm시퀀스가 아래 위로 회전하면서 나란히 놓인다. 왼쪽 화면에서는 쭉 뻗은 손에 횃불을 들고 있는 다소 고전적인 모습의 남자누드 입상이 보이고, 오른쪽 화면에서는 읽어내기 더 어려운 표현적인 요소를 지닌 토템처럼 생긴 상이 보인다. 마찬가지로 뻗은 손에는 상징적으로 진부한 시계가 들려 있다. 이 누드상은 커다란 크기의 발기된 페니스와 커다란 질의 긴 구멍을 드러낸다.

횃불을 든 남성 누드는 고대 그리스에서 기원한 것으로서, 그 후로도 잘 표현된 신체를 통해 균형적 구성을 추구하는 형식 문법을 고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머리와 얼굴 부분의 처리는 분명히 근대적이다. 그것은 아리안족의 영웅이자 의지력의 공허한 화신인 “프로메테우스” 상인데, 히틀러가 좋아한 조각가였던 아르노 브레커가 1937년에 만든 것이다. 완전히 다른 관점에도 불구하고, 토템 형상의 인물 또한 분명히 근대적이다. 형식적으로 예측불가능하고, 그래서 놀라움으로 가득한 이 조각은 고대의 그로테스크한 상과 에트루리아와 콜럼버스 이전의 미술을 떠올리게 한다. 반미학적인 갈색조의 래커칠 만이 파편으로 보였을 지 모를 형체를 통합하는데 도움을 준다. 카를 겐젤의 “자웅동체”는 20세기 초 서양미술이 약탈하고 변형시켰던 이른바 “원시적인” 형식과 동일한 레퍼토리를 이용한다.

사실, “프로메테우스”는 실제의 인물 크기보다 더 큰 청동상이다. 나치 미술의 공식 무대였던 뮌헨의 “위대한 독일 미술전”에서 처음 소개되었다. 반면, 카를 겐젤의 “자웅동체”는 정확하게 같은 시기—1937년 여름—에 “퇴폐미술전”에 전시된 작은 목조상이다. “위대한 독일 미술전” 전시장과 불과 몇 걸음 떨어진 곳에서 열린 이 악명 높은 전시는 현대미술을 본질적으로 퇴행적인 프로젝트로 비난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었다. 그들의 주장을 증명하기 위해 나치 계열의 큐레이터들은 주요한 아방가르드 미술을 정신병자들의 미술과 나란히 놓아 형식적 병치를 이루어 전시했다. 카를 겐젤은 이런 정신질환자들 가운데 한 명이었던 것이다. 요약하자면, 테레스는 “배움의 정원”에서 관람의 상황, 더 정확하게는 1937년 관객들에게 주어졌던 ‘비교해서 보기’라는 상황을 재구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