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2 N. N, 2012.

조회 14,439

관리자 2013-03-25 09:40

작가위르겐 스톨한스
본전시


N. N, 2012.

범어(梵魚)와 드로잉 시리즈

스톨한스는 부산에서 몇 달을 지내면서 “배움의 정원”의 비공식 레지던시 예술가가 되었는데, 더 중요한 것은 지칠 줄 모르는 한국의 민속학자가 되었다는 사실이다. 그는 두 작품을 출품했다. 하나는 대형 물고기이고, 다른 하나는 통신기술의 미학 너머에 있는 한국의 시각적 정수를 포착하는 드로잉 시리즈이다. <범어>는 한국인들이 레고라고 알고 있는 옥스포드사의 블록 75,000여개 조각으로 만들어졌다. 그것은 범어사 근처 산 속에서 나타난 금어의 신비스러운 전설을 떠올리게 한다. 그 물고기는 연못에서 잠깐 헤엄치는 모습을 보이곤 이내 사라진다. 물고기의 크기와 “다시 콘크리트로”라는 이상한 비문은 이 물고기를 단순히 크기만 키운 대형 장난감과는 달리 보이게 한다. 그것의 개념은 한국에 대중화되어 있는 공공적 조각 작품, 즉 모든 “사물들”에 더 가깝다 (철, 크롬, 대리석, 그 밖의 다른 내구성 재료의 장식물로 장식되지 않은 건물은 거의 없다.)

이러한 공공 조각은 지역 예술가들에게는 상당한 수입원이다. 그렇지만 이런 조형물과 정서적인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싶어하지 않는 행인에게는 대부분 관심을 얻지 못한다. 그런데 <범어>는 전혀 그렇지 않다. 이 작품은 공공미술을 위한 대안이다. 또한 지역 신화와 연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 신화를 현재로 옮겨놓아 활성화시키기도 한다. 천여 년 전 범어사에서처럼, 우리는 아주 이상한 물고기를 보고 완전히 당혹스러워한다! 반면에, 재료의 관점에서 볼 때 옥스포드 블럭은 대상 전체를 친근하게 만든다. 우리 모두는 그런 것을 어떻게 만드는지 알지만, 어린이들을 제외하고는 실제로 그렇게 만들어보는 꿈을 꾼 적은 전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