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2 오데사의 계단

조회 14,681

관리자 2013-03-25 09:40

작가함경아
본전시


오데사의 계단
함경아 작가는 전직 대통령이 살았던 빌라의 리모델링 소식을 TV 보도로 접한 뒤, 조용히 현장을 찾아가 빌라에서 버려진 쓰레기들을 뒤졌다. 그녀는 그나마 온전히 남아있는 것들 중에서 골프화, 카펫, 사무용 의자, 일본산 비데, 대나무, 파이프나 타일 같은 건축 재료들을 수집했다. 그렇게 구한 오브제를 전시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들기 위해, 그녀는 합판과 그 밖의 값싼 재료를 사용했다. 임시변통의 구조물처럼 보이지만, <오데사의 계단>은 기념비적 작품이다. 그 본래의 영광스러운 제목과 레퍼런스에 부족함이 없는 독립적인 계단이다. 사실, 오데사의 계단은 영화사에서 가장 전설적인 장면의 무대이다. 에이젠슈타인의 <전함 포템킨>(1925)의 그 계단 장면에서는 노인과 여자, 그리고 어린이를 포함한 오데사의 민중들이 짜르 군대에 의해 학살당한다.
에이젠슈타인의 선전선동 영화―선전선동이 조금이라도 있다면―는 1905년 러시아 군함에서 일어난 혁명적 해군 병사들이 일으킨 반란을 영화화 한 것이다. 장면 중에는 병사들의 주장을 열렬히 지지하는 사람들이 특별관람석처럼 계단을 차지하고 있는 모습이 나오는데, 우리는 교묘한 몽타주로 구성된 장면들을 통해 해 맑았던 사람들이 피의 시체더미로 돌변하는 고통스런 모습을 지켜보게 된다. 차르 군대는 천천히 계단을 내려오면서 모든 곳들을 향해 총을 겨눈다. 연속 장면에서, 특히 한 어머니가 총에 맞아 쓰러지면서 손잡이를 놓친 유모차가 층계를 부딪치며 내려오는 장면은 아주 유명하다. 이 유모차 장면에 상응하도록, 함경아의 <오데사의 계단>은 그 발치에 건축자재를 담아놓은 ‘까르푸’ 쇼핑 카트를 배치했다. (‘까르푸’는 세계 최대의 대형 마트 업체이지만, 1996년 한국에 들어온 이래 현지화에 실패하고 ‘월마트’처럼 2006년에 한국을 떠났다.)
함경아의 위태로운 기념비는 우리에게 현대 한국사의 한 장면과 에이젠슈타인의 신화적 장면 사이의 어떤 관련성을 상상할 것을 분명하게 요구한다. 러시아처럼 한국도 1980년 광주 민중항쟁 이후 학살로 얼룩져 있을 뿐만 아니라, 계단 위의 저 쓰레기들의 주인인 전직 대통령이 바로 그 학살에 직접 관여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둘의 상관성을 상상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게 아니다. <오데사의 계단>을 이런 식으로 읽는다면, 함경아의 설치 작품은 훌륭한 기념비라 할 수 있다. 우리는 종종 자기만의 수사학에 빠지기도 하지만, 이 작품은 그걸 피하면서도 형식적으로 완성도가 있는 진심 어린 기념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