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2 No.18 (외부는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을 절대 드러낼 수 없다)

조회 15,407

관리자 2013-03-25 09:42

작가메리 엘렌 캐롤
본전시


N° 18

“한국 집은 뭐지?”캐롤의 프로젝트와 함께 시작된 질문이다. 이 질문은 물론 한국 환경을 지배하는 이름 없는 건축업자가 지은 건축물에 의해서 유발되었다. 순응성이라는 이상에 대한 문화의 피상적 집착과 군사적으로 강요된 근대적 표준화의 실행을 암시하는 고층 복합공간의 구체화가 그것이다. 부산에서 그 상황은 더욱 기묘하다. 한국전쟁 동안 부산은 피난민들의 쉼터였고, 그들의 판자촌은 적절한 주거지로 탈바꿈할 필요가 있었다. <N.18>은 피난민들을 수용했던 제1세대 아파트 빌딩이다. 아파트는 항구에 가까운 부산의 오래된(“근대”만큼 오래되었다) 인구 밀집지역 중 한 곳으로, 동구 좌천동에 위치한다. 캐롤은 이 빌딩을 가지고 작업을 했고, 그녀 스스로 말하듯, 건축 행위를 수행했다. 아파트를 얻기 위해서는 집주인과 부산비엔날레 사무국이 계약을 맺어야 했다. 한국에는 그러한 계약을 위해 만들어진 특별한 형식이 있는데, 임대 시작 시점에 전세금이 일시불로 지불된다. 이 금액은 계약 만료 후에 임차인에게 다시 반환된다. 계약 이후, 캐롤은 한 구조물을 생각해냈다. 프로젝트를 위해 조립된 것인데, 아파트에 직접 삽입될 수 있었고 4평(1평은 3.3 제곱미터)의 공간이고 벽에 닿지 않는다. 이 구조물은 캐롤 작품의 개념축으로서, 다음 세가지 방법으로 진행된다.

1) 구조물은 빌딩에 속해서 일상생활에 어우러진다.

2) 세련된 지붕들을 대하는 바깥 조망을 통해 도시 환경과 연결된다. 이 지붕은 스티로폼을 주재료로 사용하는 GAIA 흙을 사용한다(스티로폼 역시 건축적 삽입물의 주재료이다).

3) 좌천동에서 벌어지는 모든 공식적, 비공식적 활동은 미술관(또는 해당 전시공간)과 인터넷으로 방송된다.

미술관내 설치는 부피연구 모형과 전세 기능을 보여주는 아파트 모형 뿐만 아니라 카테고리 세트도 포함한다. 카테고리는 “종교와 철학”, “부산” “삶과 스타일, 식사와 음식” 같은 종류인데, <18호>에 대한 서로 다른 경험의 층들을 기록하고 명확히 표명하기 위함이다. 캐롤의 작업은 뭔가를 알아내기 위한 수단이 되는, 하나의 예술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