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2 마음의 소리

조회 14,949

관리자 2013-03-25 09:44

작가울라프 니콜라이
본전시

 
마음의 소리
사마니: 중요한 질문에 대답하기 위한 몇 개의 제안
<사마니>는 장대 위아래를 비추는 스포트라이트다. 그것은 컴퓨터로 작동되기 때문에 자체의 축에 따라 회전하며 속도를 조정하거나 멈추기도 한다. 이 설치 작품은 전체 공간을 빛과 그림자의 불안정한 패턴으로 변형한다. <사마니>는 단순한 시각장치만은 아니다. 자동 장치의 소리는 비록 겉보기에는 체계적이지만, 조명의 불안함, 심지어 그 몽롱함, 의문을 강조한다. <사마니>의 부제는 이 작품을 “몇몇 중요한 질문들에 답하기 위한 제안”이라 칭하지만, 그 질문들의 성격에 관해서는 어떤 암시도 하지 않는다. 아마도 이런 모호함을 극복할 방법은 없을 것 같다. 미술 작품들은 어떤 ‘분명한’ 형식 언어를 알지 못한다. 그러면서도 중요한 문제들 (비평적 예술의 낡은 정형)을 단순 제기하는 데 만족하지 않고, 그것들에 답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존경할만한 야망처럼 보인다. 그 일은 다름아닌 새로운 고전주의를 요구한다.
<내면의 음성>은 인체를 도구로 전환하는 사운드 예술작품이다. 가수들, 즉 참여하고자 하는 관람객들은 오랜 시간 동안 공연한다. 이들의 노래는 로버트 슈만의 피아노곡 <유머레스크, 작품번호20번>에서 왼손 연주 보표와 오른손 연주 보표 사이에 삽입했던 일련의 음계를 따른다. 슈만이 <내면의 음성>으로 명명한 바 있는 이 중간 보표의 지위는 불확실하다. 장-뤽 낭시는 니콜라이의 작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이 곡은 무반주 피아노곡으로 쓰여졌기 때문에, 이 중간보표는 부를 수 없는 것이다. 연주자는 상상컨대 허밍으로 부를 수 있겠지만, 그것이 본인 역할은 아니다. 대신 중간 보표는 마음 속으로 소리 없이 곡조를 부르도록 유도한다. 아니면 연주하거나 부를 수 없고 또 그렇게 해서도 안 되는 것이 자신 앞에서 펼쳐짐을 지켜보게 한다. 음악의 내면, 가장 깊은 내밀함이 양손 사이에서 연주된다.”
[“울라프 니콜라이의 <내면의 음성>, 연주를 위한 지시로서의 기호,” SBKM/De Vleeshal 편집, 암스테르담: Middelburg in collaboration with Roma Publications, 2010, pp.9-10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