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2 보이지 않는 건물

조회 16,266

관리자 2013-03-25 10:17

작가티나 베로빅
본전시


보이지 않는 건물

사람들이 움직이고, 사물이 움직이고, 젖은 어두운 표면 위에서 선과 색채가 그 표면을 서성인다. 선들은 서로 상응하고, 미니멀하게 그려진 인간 형체는 산자락이나 모래 더미일 수 있는 것을 모사한다. 어두운 구멍을 형성하는 땅과 함께, 그 형체는 암호 그 이상이 되고 싶다는 열망도 가지지 못한다. 어떤 것은 혹은 그 어떤 것도 구별하기 쉽지 않다. 사실 드문드문 나타나는 선과 색을 제외하면, 그림은 그 자체로는 아무것도 아니다. 윤곽선들은 미결정된 표면으로부터 나타나 강한 색채 대비를 야기한다. 인간 형체는 무거운 자루처럼 보이는 것 위에서 쉬고 있고, 나머지 자루들은 흩어져 있다. 사람들은 물건을 나르고, 춤을 추고, 피곤해 보인다. 이곳에서는 마티스의 효과적인 기법과 한국의 건축 붐 모두를 상기하는 정중한 의식이 진행된다.

전시된 작품은 서로 연결되는 그림과 스크린으로 구성되어있다. 스크린에는 그림에 보여진 형상이 다시 나타난다. 땅은 이제 투명해져 있다. 전통적으로 스크린은 공간을 구분하거나, 공간을 더 잘 분절시킨다. 또한 확실한 시각의 경제를 제공하기도 한다. 스크린이 의도적으로 가로막은 광경에 배신당했다고 느끼는 우리의 두 눈에게, 스크린은 시각적 대리자로서의 그림을 그 보상으로 제공한다. 베로빅의 투명 스크린은 보이지 않는 것과 보이는 것 사이의 상호 유사한 교환에 동참한다. 이는 아시아에서 사용되는 바람막이 천을 하나의 예술 형식으로 특징짓는다. 하지만 스크린은 우리의 시각으로부터 차단 당한 현실과 다른 또 하나의 현실을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