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18,200
관리자 2018-08-20 20:09
〈나는 할 말이 없다. 프로파간다용 확성기와 노래하는 목소리를 위하여〉, 혼(horn) 스피커, 비계, 앰프, 400 x 50 x 300 cm, 2018, 작가 제공
오귀스탱 모르
나는 할 말이 없다. 프로파간다용 확성기와 노래하는 목소리를 위하여
이번 비엔날레에서 모르는 신작 〈나는 할 말이 없다. 프로파간다용 확성기와 노래하는 목소리를 위하여〉(2018)를 선보인다. 이는 격자 무늬로 배열한 혼(horn) 스피커를 외부에 설치한 작품으로, 남북한 사이의 비무장 지대를 비롯해 중국 본토에서 불과 6.4킬로미터 떨어진 타이완 관할의 진먼 섬 등 국경 지대에 설치된 선전용 대형 확성기를 차용한 것이다. 냉전 당시 이 음향 시스템은 국경 너머 사람들을 동요시키기 위한 프로파간다성 음악을 트는 목적으로 사용됐다. 하지만 모르의 혼 스피커 작품에서 흘러나오는 노래 가사는 아무런 프로파간다적 의미가 없다. 대신 영향력 있는 작가들의 말을 인용하여 ‘진실된 메시지’의 불가능성을 이야기하고, 침묵과 무언증에 대한 인용구 모음을 재생한다. 일례로 존 케이지가 남긴 유명한 말 “나는 아무 할 말이 없으며 아무 할 말이 없다는 말을 하는 중이다” 등이 있다. 이처럼 이 작품은 프로파간다의 소리적 기념성과 그와 관련 있는 트라우마를 ‘말할 수 없는 것들’이라는 주제를 통해 다루고 있다. 작가가 선정한 인용구는 간단하고 짧은 아카펠라 멜로디로 변환되었고 이를 부르는 사람의 모국어로 번역되어 음악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