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16,319
관리자 2018-08-20 20:17
제인 & 루이스 윌슨
슈타지 도시
이번 비엔날레에 전시되는 이들의 작품은 감시와 국가 권력 간의 해로운 협력 관계를 조명하고 있다. 이는 두 사람의 작품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주제로, 최근 작품인 거대한 자화상 시리즈 〈거짓 양성, 거짓 음성〉(2011)에서도 다뤄진 바 있다. 이번 전시에는 1997년 설치 작품〈슈타지 도시〉가 소개된다. 이 4채널 영상 작품은 프로젝터를 통해 상영된다. 여기에 투사되는 영상들은 두 작가가 동독 시절의 악명 높은 비밀 경찰 조직 ‘슈타지’의 옛 도청 시설에서 촬영한 것이다. 동독 사람들이 기억하는 슈타지 감시 하의 삶은 늘 각종 의혹과 의심에 시달려야 했다. 사찰 조직이 사람들의 주변 환경을 샅샅이 파헤쳤고, 이들은 매우 지독한 밀고자 네트워크를 곳곳에 심어두었다. 이로 인해 적잖은 사회적 혼란이 야기되었다. 이처럼 이 작품은 단순히 단편적인 역사적 사건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여러 디스토피아 시나리오에서 묘사하는 권력과 조종의 원칙에 대해 이야기한다. 진부한 도청 시설의 내부를 있는 그대로 촬영했기 때문에 전혀 센세이셔널하지는 않지만, 〈슈타지 도시〉의 미로 같고 파편화된 영상 푸티지는 전체주의가 사회를 장악한 뒤 어떤 결과를 남겼는지 구체화하여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