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데이브 헐피시 베일리

조회 1,780

관리자 2020-09-03 21:16

1963년 미국 덴버 출생

현재 로스앤젤레스 거주

데이브 헐피시 베일리, 〈세 부적절한 서술체계 속의 부산 주변〉, 2020, 종이에 아카이벌 피그먼트 프린트와 점토, 아코디언북, 혼합매체, 가변크기

사진은 캘리포니아 근처에 있는, 한국전쟁 중 한국을 배경으로 했던 1970년대 텔레비전 쇼 ‘M*A*S*H*’의 촬영 장소를 기록한다. 흙 샘플을 각 장소에서 모았으며 각각 독립된 점토 입자로 정제했다. 점토는 지형을 설명하는 용어인 9개의 한국어(로마자 표기) 단어를 찍어내는 데 사용되었다. 이 용어들은 미군이 제작한 20세기 중반의 한국 지도의 색인에도 발견된다.

Dave Hullfish BAILEY, Pusan Perimeter in Three Inadequate Descriptive Systems, 2020, Accordion-fold booklet with archival pigment prints and clay-on-paper texts, mixed media, variable dimensions

The photographs document sites near the California film set of M*A*S*H*, a 1970s television show set in Korea during the Korean War. Soil samples gathered in each site were refined to isolate clay particles. The clay was used to print a series of 9 (Romanized) Korean terms for landscape features. The terms appear in a glossary included on mid-century U.S. military maps of Korea.

데이브 헐피시 베일리는 조각, 콜라주, 사진, 영상, 설치 등 여러 매체를 오가며 작업하는 작가이다. 설치는 모형, 주석을 단 지도, 메모즉석으로 만든 장치, 오브제, 프로토타입, 임시적인 건축물 등으로 이루어져있다. 이것들은 처음에는 서로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이들 사이의 상호연결성은 각각의 장치에 다양한 역할을 주고예술가 데이브 헐피시 베일리의 개념적 접근법과 그의 사회, 정치, 역사적 양식과 긴장에 관한 관심을 조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