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비앙카 봉디

조회 2,093

관리자 2020-09-03 21:27

1986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출생

현재 프랑스 파리 거주

비앙카 봉디, 〈대기실〉, 2020, 혼합매체, 가변크기

Bianca BONDI, The Antechamber, 2020, Mixed media, variable dimensions

비앙카 봉디가 주 재료로 사용하는 소금은 작가의 언급과도 같이 삶에 필수적이지만 너무 많을 경우 죽음을 초래하는 소재이다. 앙리 제르벡스의 〈롤라〉(1878)나 존 에버렛 밀레이의 〈오필리아〉(1851-52)와 같은 페인팅에서 영감을 받은 이 작품은, 고니로 향하는 길의 끝에 놓여있는 옷장 위 원형 거울에 울림을 주면서 연못을 품고 있는 침대가 놓여있는, 차갑지만 여성스러운 침실의 구조를 보여준다. 손 닿지 않은 연못과 거울을 제외한 모든 곳은 소금으로 뒤덮여 있다. 그리고서 우리는 소금이 보전을 상징하기도 하지만 부활을 상징하기도 하는 야외의 우주 공간을 건너도록 초대 받는다. 한 마리의 고니가 홀로 서 있다. 이는 소멸 이전에 오히려 노래를 더 잘 부를 수 있는 예술과 시의 힘을 상징한다. 우리는 우리를 죽음으로 이끄는 시스템 안에서 살아가고 있고, 재 속에서부터 날아오르는 불사조처럼 저항하는 생존자들이기도 하다. 아무것도 잃은 것은 없고 모든 것은 변하며 소금은 물에 녹을 수 있고 후에 다시 결정체로 변한 뒤 주위를 산화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