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2,179
관리자 2020-09-03 21:31
1965년 이탈리아 베니스 출생
현재 독일 베를린 거주
모니카 본비치니, 〈벽이 계속 움직이면서〉, 2019, 목재용 나무, 나사, 못, 868×828×870cm
Monica BONVICINI, As Walls Keep Shifting, 2019, Timber wood, screws, 868×828×870cm
Courtesy of the artist
모니카 본비치니는 직접적이고 유머러스한 접근법을 통해 기존의 권력 구조를 드러내고 이에 도전하는 시각예술, 주로 대규모 조각품을 만든다. 건축, 권력, 젠더, 공간, 감시와 통제 사이의 관계에 대한 관심에 기반한 그의 작업은 이론적으로나 실천적으로 다면화되어 있다. 그는 조각, 드로잉, 설치, 비디오, 그리고 사진 등 미디어 전반에 걸쳐 작업한다. 철, 유리, 가죽, 쇠사슬 같은 공업용 재료를 주로 사용하는데, 이는 친밀하고 아름다운 것과 거칠고 폭력적이고 도발적인 것을 결합시킨다.
1990년대 중반부터 국제적으로 전시를 해온 작가는, 전시 장소와 그것을 구성하는 물질들, 그리고 관람자와 창작자의 역할 사이 핵심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꺼리지 않는다. 그는 부당함을 폭로하는데 있어 거침이 없으며 대담하고 노골적인 정치적, 역사적, 사회적 레퍼런스를 작업에 자주 담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