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니콜라 분

조회 1,935

관리자 2020-09-03 21:33

1974년 프랑스 리옹 출생

현재 파리 거주

니콜라 분, 〈배와 버스가 지나가고〉, 2020,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26분,TOURNAGE3000 PRODUCTION

Nicolas BOONE, Vessels and buses are passing by, 2020, Single channel video, color, sound, 26min, TOURNAGE3000 Production

영화 감독인 니콜라 분은 영상 촬영과 연출을 오가며 작품을 제작한다. 이러한 접근법에 대한 다양한 결과물은 ‘BUP(2007/2008) 시리즈와 다수의 중편 및 단편 영화로 제작되었으며, 이들 중 일부는 〈Les Dépossédés(2012)와 같이 전체 프로그램 구성의 일부로 발표되기도 했다. 분의 영화는 콜롬비아 보고타의 가난한 동네를 배경으로 촬영한 〈LAS CRUCES(2018)부터 세네갈 사하라 이남의 사막화된 마을 〈PSALM(2015)에 이르기까지 세계 곳곳으로 우리를 안내한다. 지역 거주민이나 여행자의 발걸음을 따라 가도록 하는 작가의 연출 스타일은 환경 속 일상을 정의하는 잔혹함과 꿈, 기쁨을 친밀한 관계를 통해 경험토록 한다.

니콜라 분의 영상은 일관된 스타일로 연출되는데, 그 중 하나가 종종 잊혀지거나 소외된 지역을 선택하고 방문하는 것에 있다. 가령 〈HILLBROW(2014)는 한때 인기 지역이었던 요하네스버그의 힐브로우를 다룬다. 현재 인구밀도와 범죄율이 높은 이곳은 과거 인종차별 제도였던 아파르트헤이트에 의거한 백인 전용지역이기도 했다. 또한 작가는 등장 인물이나 장소명과 같은 특정 정보를 화면에 거의 노출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접근법은 빈곤, 폭력과 같은 보다 일반적인 문제를 나타내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아울러 그의 대다수 작품에서 드러나는 주제는 사회적 상호관계와 공동체에 대한 개념이며, 이는 실험적 영화 〈ETAGE 39〉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 작가가 11명과 협업으로 제작한 이 작품은 그린 스크린으로 덧대어진 밀폐된 방에 놓인 자신을 발견한 사람들에 대한 공간적 경험을 다룬다. 이 후 분은 그린 스크린을 전세계의 기묘한 풍경들로 대체하는 방식을 통해 참가자들이 견뎌야 했던 공허한 경험을 변형시켜 관람객에게 전달한다. 니콜라 분은 감독으로서의 활동뿐만 아니라 라이브 퍼포먼스 또한 실행한다. 가령 벤쿠버의 레지던시 체류 기간 동안 진행했던 3시간짜리 퍼포먼스 〈NOTHING HAPPENING〉은 작가의 비디오 작품 회고전이 열렸던 2011년 전시 《LIQUIDATION》에서 공연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