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제라르 빈

조회 1,893

관리자 2020-09-03 21:38

1969년 아일랜드 더블린 출생

현재 더블린 거주

제라르 빈, 〈우리들의 시대에〉, 2017, 단채널 비디오, 8채널 사운드, 가변시간, 설치

2017 뮌스터 조각프로젝트 커미션 제작

Gerard BYRNE, In Our Time, 2017, Single channel video projection, 8 channel audio, duration variable, installation

Commissioned by Skulptur Projekte Münster 2017

사진과 필름, 거대 규모의 다채널 영상 설치를 넘나드는 제라르 빈의 작업은 이미지의 생성과 시간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끄러짐(slippage)을 심문한다. 이는 언어의 모호함이나 텍스트에서 이미지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누락과 획득에 주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초현실주의 혁명(La Revolution Surréaliste), 『플레이보이(Playboy), 또는 『내셔널 지오그래픽(National Geographic)』과 같은 매거진에서 역사적으로 격렬했던 대화나 인터뷰, 퍼포먼스 등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새롭게 구성하고 설치 형식을 통해 섬세하게 구조화한다. 마이클 프리드는 그의 저서 『미술과 사물성』(1998)에서 미니멀리즘을 경유하여 작품이 물체화되고 객체화됨으로 전시의 환경에 연루되는 것에 대해 언급했다. 그에게는 달갑지 않은 흐름이었지만이제 현대의 작품은 완결된 실체라기보다는 관람객을 포함하는 일종의 상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관객은 공간을 거닐며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경험을 통해 이를 현상학적 차원에서 수용한다. , 일종의 시간적인 경험이 곧 작품 경험의 본질이 되는 순간이며, 이러한 관점에서 제라르 빈이 재구축한 파편적 서사는 유한성에 기반을 둔 예술을 열린 결말로 이끌어내고, 관람객은 그들 자신의 특정 관점을 동원하여 끊임없는 전이적 순간을 맞이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