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칼 홀름크비스트

조회 2,095

관리자 2020-09-03 21:57

1964년 스웨덴 바스테라스 출생

현재 독일 베를린 거주

칼 홀름크비스트, 〈'무제' 시리즈〉, 2020, 종이에 볼펜, 56×42cm(17), 42×56cm

Karl HOLMQVIST, Untitled series, 2020, Ballpoint pen on paper, 56×42cm(17), 42×56cm

칼 홀름크비스트는 단어에 있어 집요하다. 작가는 지난 삼십 년 이상 책, 공연, 포스터, 조각, 램프, 비디오 및 사운드 작업을 통해 단어의 가능성을 실험해왔는데, 이는 결론에 도달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어의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해서이다. 홀름크비스트는 저렴하고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 가령 복사물이나 벽에 사인펜, 종이에 볼펜을 이용하여 작업을 한다. “시 한번 써 봐(Give Poetry a Try)”라고 쓰인 스티커를 뉴욕 지하철에 붙이는 작업을 시작한 1980년대 후반부터 홀름크비스트는 반복적으로 사람들에게 시를 쓰고 낭독할 것을 독려하고 있다. 작가의 세계관에서 볼 때 텍스트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기존의 텍스트 자료와 구상 시의 전통에 오랜 관심을 가져온 작가는 흘려 들은 연설이나 광고 슬로건, 신문 헤드라인, 노래 가사, 익숙한 관용구 및 격언을 사용하여 비선형적이고 비서사적인 언어적 방법으로 새로운 의미를 생성한다.

칼 홀름크비스트의 시각적 참고 자료에는 예술의 역사적 재현, 동굴벽화, 기하학적 만다라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한마디 단어, 대중 노래 가사 혹은 텍스트의 한 조각과 병치되고 동일시된다. 홀름크비스트의 작품은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문제와 인종차별, 호모포비아와 같은 현재의 상호교차성에 대한 고민을 다루는 만큼 구체적인 유형물로 나타난다. 삼십 여권 이상의 시집을 발표한 홀름크비스트는 사적이고 개인적인 책에 대한 경험과 읽기로부터 기념비적인 공공 벽화와 조각물까지 아우르며 규모적 변화를 지속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