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쥬노 JE 킴ㆍ에바 에인호른

조회 2,357

관리자 2020-09-03 22:02

쥬노 JE 1975년 한국 출생

에바 에인호른 1977년 폴란드 크워츠코 출생

현재 스웨덴 말뫼 거주

쥬노 JE 킴ㆍ에바 에인호른, 〈크랍슈타트 버튼〉, 2020, 컴퓨터 게임, 가변시간

Jeuno JE KIM & Ewa EINHORN, Krabstadt Buttons, 2020, Computer game, duration variable

쥬노 JE 킴은 애니메이션, 사운드, 퍼포먼스, 영상과 텍스트를 바탕으로 시각예술 작업을 하는 작가이자 필자로 활동하며, 에바 에인호른은 에니메이션과 드로잉, 그리고 다큐멘터리 필름 형식을 기반으로 영화적 작업을 하는 시각 예술가이자 감독이다. 두 사람은 2009년부터 공동 작업을 이어오고 있으며, 주로 북유럽 국가와 관련하여 만들어진 이미지 뒤편에 존재하는 문제적 이슈에 주목하고 있다. 이는 국가적 차원에서 영역과 영토를 장악하기 동원되어온 정치적 수사, 또는 국가라는 이름 아래 작동하는 브랜드 전략 같은 것의 이면에 누적된, 반드시 직시해야만 하는 오늘날의 긴급한 사안이라 할 수 있다.

그들의 대표작인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크랍슈타트(Krabstadt)’는 단편으로 이루어진 시리즈물로서 단순하게 표현된 캐릭터와 블랙 유머, 약간의 거친 언어가 만들어내는 고유의 풍자적 어법이 돋보인다. 작가는 본 작업에서 브랜딩을 통해 달성한 오늘날의북유럽이라는 외피를 둘러싼 정치·역사적 궤적을 꿰어내고, 청량한 이미지 아래에 깔린 이주와 통합, 실직과 고용, 민족이나 젠더와 같은 현실의 이슈를 들추어낸다.

킴과 에인호른은 애니메이션이 가진 우화적 언어로 이주민에 대한 북유럽 사회의 모순적인 태도, 노동시장에 투입되는 이민자들에게 겨우 허락되는 열악한 환경과 조건, 그리고 시민사회의 기저에 깔린 위선적이며 이기적인 본질에 신랄한 질문을 제기한다. 더 나아가 이들의 작업은 오늘날 국가와 사회적 차원에서 우리의 정체성을 규율하고 조작하는 여러 형태의 ()가시적인 힘을 조명하고, 현재를 구축하는 역사, 문화, 정치 등의 맥락을 비판적인 눈으로 조금 더 선명하게 바라볼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