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2,366
관리자 2020-09-03 22:08
1979년 한국 서울 출생
현재 서울 거주
김아영, 〈수리솔 수중 연구소에서〉, 2020, '어느 도시 이야기'(2010-2020) 중에서,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약 17분
KIM Ayoung, At the Surisol Underwater Lab, 2020, From Tales of a City (2010-2020), Single channel video, color, sound, approx. 17min
김아영의 작업은 국가성, 세계 자원 및 불가사의한 건조환경과 같은 동시대적 관심사를 탐구한다. 석유 무역을 둘러싼 정치로부터 한국을 국가의 단계로 만들게 된 영토 제국주의와 역사적 사건들에 대한 조사를 아우르며 이에 대한 대안적 이야기를 사운드와 이미지의 결합을 통해 묘사한다.
2010년 영국에 체류하던 당시 부산이라는 도시 자체를 중심에 둔 ‘어느 도시 이야기’라는 연작을 구상했고, 〈모든 북극성 1, 2〉과 〈돌아와요 부산항에〉라는 영상들을 잇따라 제작했습니다. 전자는 현실과 분리된 일종의 버블과도 같은 부산 경마장에서 발생했던 여성 기수의 자살을 둘러싼 복잡한 정황과 북극성이라는 경주마의 혈통을 더듬어 나간 작업이었고, 후자는 1980년대 부산항을 배경으로 밀수 일을 하던 소년의 하루를 뮤직비디오 풍으로 재구성한 영상입니다. 부산은 한국 최초로 개항된 도시 중 하나이며, 문화와 이념, 자본과 상품, 밀수품과 밀입국자가 쏟아져 들어오는 공간이고, 그로 인해 역동성과 다양한 시간성들이 혼재하고 충돌하는 도시입니다. 이번 부산비엔날레를 위한 작업에서 과거에 매듭짓지 못했던 이 연작을 드디어 삼부작으로 마무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새 작업은 부산 오륙도 앞바다에 위치한 수중 다시마 연구소를 배경으로 사변적 픽션을 펼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