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김희천

조회 2,424

관리자 2020-09-03 22:09

1989년 한국 서울 출생

현재 서울 거주

김희천, 〈탱크〉, 2019,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42분
KIM Heecheon, Deep in the Forking Tanks, 2019, Single channel video, color, sound, 42min

지난 5년간 김희천은 뉴미디어를 통해 정교한 예술작품을 상당한 규모로 제작해왔다. 1989년 서울에서 태어난 작가가 미디어 아트에 집중하게 된 것은 우연이 아니다. 그가 디지털 원주민이기 때문인데, 이는 작가가 아날로그 테크놀로지를 낡은 것으로 느낄 뿐만 아니라 그것에 낯선 세대에 속한다는 의미이다.

김희천의 작업은 의식 세계로부터 풀려난 어떤 저자를 드러낸다. 그는 반()자전적 내러티브가 펼쳐 보이는 실재에 필사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들을 모두 쥐고 있어도, 작가는 보이지 앉는 장벽에 여전히 부딪히고 만다. 작가의 세계는 데이터 풍경 속 이미지 위에 지어진다. 물리적 환경과 정신적 통일성이 파열되는, 스크린의 납작한 세계에 갇힌, 이 영상 삼부작은 실재,’ ‘픽션,’ ‘가상의 경계를 규정하는 유동적인 경계를 탐구하려는 작가의 노력을 보여준다. 이는 작가의 인식 변화와 작가 자신의 자아의식의 왜곡으로 분화된다. 최근 영상인 〈탱크〉(2019)에서 작가는 이런 개념을 최소한의 결정체로 밀어 부친다. 작업은 시뮬레이션으로 다이빙을 배우는 작가의 모습을 보여주는데, 작가는 훈련에 부유 장비, 혹은 감각 상실 탱크라고 불리는 것의 도움을 받는다. 그의 작업에서, 가상공간의 물질적 현현인 시뮬레이션은 먼저 감각의 상실을 가능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