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권용주

조회 2,266

관리자 2020-09-03 22:14

1977년 한국 대구 출생

현재 서울 거주

권용주, 〈폭포〉, 2020, 방수포, 포장천막, 스티로폼, 고무바, 자동바, 조립식 비계, 워터펌프, 목재 외, 976×731.8×418cm

KWON Yongju, Waterfall, 2020, Tarpaulin, covering, styrofoam, rubber bar, automatic bar, scaffolding, water pump, wood and others, 976×731.8×418cm

권용주는 종종 개인의 미시적 삶과 그들이 마주하는 일상의 풍경에 주목하며, 이를 현실이라는 이름 위에 조각해낸다. 그리고 이는 일상적 환경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사물들을 경유한다. 그것은 삶이라는 가시적 풍경 안팎으로 존재하는 가치 없어 보이는 부산물, 파편과 같은 것들이다. 작가는 일견 재활용품이나 폐품이라고도 할 수 있을 이 삶에서 떨어져 나온 부분들을 조합하고 형태를 취해 나아간다. 이러한 과정에서 해당 사물들은 원래의 위치나 맥락, 기존의 용도로부터 탈각되고, 이렇게 개인의 특정한 삶과 일상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이들은 조각적 형태 안에서 이 사회의 특정한 층위와 표피를 드러내게 된다. 그렇게 그는 수집한 부산물이 조합되어 만들어진 풍경-조각을 일종의 하위 풍경이라 명명하며, 사회 시스템 속에서 취약한 개인의 흔적이 더미로 엉키어 만들어진 새로운 차원의 현실적 풍경을 만들어낸다. 

최근작에 이르러 권용주는 수집한 개별 오브제의 임시적 결합 상태를 그대로 캐스팅하여 더욱 단단하게 결속한 형태로 보여준다. 각 재료의 성질과 색감, 형태, 그리고 이미 익숙한 기존의 용도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했던 감각적 충돌과 해소, 결집의 구조는 캐스팅을 통해 완전한 하나의 덩어리가 된다. 그리고 석고의 하얗게 표백된 표면은 주변의 환경과 예민하게 조응하며 더욱 섬세하고 예리한 존재감으로 조각의 형태를 드러내기에 이른다. 결국 권용주의 조각에서 마주하는 결속과 집합의 구조는 개인에서 집단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운동성과 에너지의 상승을 가시화하며, 사회를 지탱하고 나아가게 하는 개인과 집단의 형태가 만들어낸 상태의 시각화 - 사회/정치/문화적 풍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