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2,172
관리자 2020-09-03 22:19
1994년 베이징 중국 출생
현재 미국 뉴욕 및 중국 베이징 거주
리우 와, 〈Devil’s Ivy〉 드로잉, 2020, 종이에 수채, 26×36cm(30)
LIU Wa, Devil’s Ivy, 2020, Watercolor on paper, 26×36cm(30)
회화, 드로잉, 비디오 작업에 천착하던 리우 와는 최근 몇 년간 드로잉 작업을 가상현실로 전환하는 중이다. 〈Devil's Ivy〉(2020)는 코로나19로 인한 판데믹 상황에 대한 현실과 허구, 진실 및 가짜 뉴스 사이의 왜곡된 경계를 탐험하는 비디오 에세이다. 관람객들은 폐쇄된 우한시와 바이러스에 감염된 유람선인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집단 무덤이 생겨난 뉴욕 북동쪽에 위치한 하트섬으로 향하는 비현실적인 여행을 떠나게 된다.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라는 기이한 상징적 요소는 전염병이 오기 전부터 사회에 오래도록 내재되었던 문제들, 가령 공공감시와 사회적 불신을 표면으로 불러낸다. 〈Devil's Ivy〉는 바이러스의 창궐과 더불어 2020년 봄부터 인터넷에 주입되어 떠다니던 편견, 모순적 서술 및 음모론에 대한 대답인 것이다. 작품의 제목은 어디서나 자라나는 덩굴식물의 이름에서 따왔다. 이 식물은 제거하기 (거의) 불가능하며 심지어 어둠 속에서도 푸르름을 유지한다. 이전 작품 〈Racing Thoughts〉(2019)는 2채널 비디오 설치로 리우 와의 드로잉에 바탕을 두고 제작되었다. 작품은 인간의 감정에 대한 임상적이고 인본주의적인 접근을 병치하는 방식으로 작가의 두서 없는 인터넷 서핑을 추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