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2,535
관리자 2020-09-03 22:23
1976년 시드니 호주 출생
현재 프랑스 파리 거주
안젤리카 메시티, 〈허공과 지하를 넘나들며〉, 2020, 5채널 비디오, 컬러, 10채널 오디오(서라운드, 모노), 가변크기, 9분 8초
Angelica MESITI, Over the Air and Underground, 2020, Five-channel HD video installation, color, 10 channel mono sound, variable dimensions, 9min 8sec
시각 예술은 종종 기존 언어의 바깥에 존재하는 표현과 소통의 방법들을 동원하여 시각적 형식으로 제시한다. 안젤리카 메시티는 서사를 전개하기 위한 방법론이자 사회에 대한 사유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비언어적, 퍼포먼스적 방식에 초점을 맞춘다. 그는 문화나 공동체와 같은 주제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언어적 차원을 넘어선 소통에 대한 작가의 연구는 사운드나 음악, 즉흥적이거나 자발적인, 또는 훈련된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다양한 문화적 현상을 번역하는 것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 왔다. 또한 언어를 초월한 형식을 통해 오늘날의 문화와 같은 것이 어떻게 조직 혹은 조작되는지에 질문한다. 그는 종종 영화나 필름의 양식적 원형을 차용하는 동시에 비선형적 서사를 구축함으로 명상과 고조 사이에서 관객의 정서를 끊임없이 진동시킨다. 그는 선형적이고 명료한 언어적 서사의 구축보다는 모호함과 비결정성을 작업의 주축으로 함으로 오히려 관객에게 더욱 고도화된 미적 체험의 순간을 선사하며 정동(affect)의 순간을 촉발한다.
고도로 감각적이고 섬세한 메시티의 작업은 일상을 비범하고 우아한 차원으로 격상시키며, 그 어떤 해설보다도 명징하게 관객의 뇌리를 파고든다. 언어가 배제된 그의 영상 설치 작업은 구체적인 줄거리 대신 신체의 움직임-몸짓과 소리-음악으로 서사를 작동, 전개함으로 개인의 감각을 넘어 공동의 의식을 일깨우며, 이는 곧 언어〮문화〮사회적 경계를 초월하여 개인의 영역을 관통하고 공동의 정서로 엮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