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2,284
관리자 2020-09-03 22:28
1972년 덴마크 오르후스 출생
현재 오르후스 거주
라세 크로그 묄레르, 〈한편 부산에서 - 책상 위에서의 여행〉, 2020, 장소 특정적 리서치, 아카이브 기록물, 혼합매체, 가변크기
Lasse Krogh MØLLER, Meanwhile in Busan - a journey at the desk, 2020, Site-specific research, archiving documentation, mixed media, variable dimensions
라세 크로그 묄레르는 도시를, 도시의 공원과 거리를 사람들과 문화, 가치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일종의 도서관으로 이해한다. 종종 사람들이 거리에 버리거나 두고 가는 장갑, 쇼핑리스트, 머리끈, 편지, 담배꽁초와 같이 일상 생활의 작은 물건들이 작가를 매료시킨다. 크로그 묄레르는 일상생활에서 간과되어 버려지고 밀려나는 것들을 기록하고 수집하여 작업으로 치환한다. 이와 같은 형식으로 작업을 진행하는 작가는 도회적 환경에서 현장 연구를 수행하는 인류학자 내지는 탐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의 발견물, 기록물, 사진들은 동시대의 일상생활에 관한 내밀한 초상이자 공공공간에서의 삶에 관한 통찰이기도 하다. 20년 이상 크로그 묄레르는 거리 위의 잔해를 조사해왔고 그 과정에서 발견한 것들을 아카이브 해왔다. 종종 작가는 그렇게 수집한 물건들을 고전적인 박물관과 같은 환경에서 전시를 하는데, 이러한 형태는 제도적인 아카이브 규범과 박물관 전시에 의해 확립된 소비주의에 대한 유머러스한 비평을 생산하기도 한다.
라세 크로그 묄레르는 새로운 유형의 지리학과 색다른 지도제작을 창조해내는데, 이것은 상황주의나 플럭서스와 같은 미술사적 운동과의 관계에서 이해해볼 수 있다. 작가는 우리가 도시의 일상생활에서 버려지거나 환영 받지 못했던 것들에 관해 질문을 던지는데, 이러한 그의 접근법은 우리 주변환경에 대한 호기심을 생산해낸다. 크로그 묄레르의 작업을 경험한 뒤 우리는 이렇게 스스로에게 물어볼 수 있을 것이다. 작고 많은 이야기들과 각자 개인의 운명을 일상생활에서 눈치채지도 못한 채로 그저 지나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아울러, 작가의 작업에서 아티스트 북은 또 다른 주 요소가 된다. 책과 전시된 물리적 작품 사이의 변증법적 관계가 이것들을 동전의 양면으로 만들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