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2,384
관리자 2020-09-03 22:35
1971년 터키 데릭 출생
현재 터키 디야르바키르 거주
에르칸 오즈겐, 〈원더랜드〉, 2016,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3분 54초
Erkan ÖZGEN, Wonderland, 2016, Single channel video, color, sound, 3min 54sec
자신을 예술 활동가로 정의하는 에르칸 오즈겐은 작업에서 주로 전쟁, 폭력, 그로 인한 트라우마의 복잡한 문제를 다룬다. 그의 작품은 정치적인 경계를 넘어 개인과 인도적 차원에서 잊혀지거나 혹은 의도적으로 은폐된 일련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원더랜드〉(2016)는 터키 국경에 있는 시리아의 마을 코바지(Kobani)에서 살았던 소년 무함마드의 이야기를 담은 영상이다. 이 마을은 2014년 9월에 시작된 ISIS의 무차별 공격에 포위된 후 107일간 대항하여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곳이다. 청각과 언어 장애를 가진 무함마드는 몸짓과 소리를 사용하여 가족이 ISIS로부터 탈출했을 때 겪었던 경험을 설명한다. 영상에 담긴 어린 소년 무함마드의 말없는 이야기는 전쟁에 대한 강력한 진술과도 다름이 없다. 작가는 무함마드의 메시지가 모든 역경에도 불구하고 ‘전쟁에 반대하는 강력한 목소리를 만들어내도록 움직일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행위가 되기를 희망한다. 이와 같은 오즈겐의 신념은 끊임없는 정보의 흐름 속에서 사라져가는 현상들에 대한 애도이자 무력이 유발한 파괴와 폐허에 무관심해진 정치, 사회적 생태계를 재정의하고 소환하는 것에 가치를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