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311
관리자 2022-12-15 14:14
이영준
기계비평가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있는 섬으로, 아마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변화를 겪은 섬일 것이다.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조용한 어촌이었으나 부산 신항만의 거대한 남측 부두가 섬의 북쪽 매립지에 생기고 눌차대교가 놓이면서 섬의 모양이나 역할에 있어서 엄청난 변화를 겪었다. 눌차대교를 지나온 도로는 가덕터널을 지나 곧바로 거가대교로 연결되기 때문에 가덕도는 부산과 거제도를 연결하는 중간 지점 같은 위치가 돼버렸다. 게다가 2030년에 이 섬에 부산 신공항이 생길 예정이어서 훨씬 큰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섬의 남쪽에 있는 국수봉과 남산을 깎아 신공항 배후 단지를 조성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2021년 9월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마저 제정됐으니 가덕도에 신공항이 생기는 것은 시간문제로 보인다. 그렇게 되면 가덕도는 오로지 ’활용‘의 관점만 남은 섬이 될 것이다. 그러나 가덕도는 꽤 오랜 역사를 지닌 섬이다. 7,000년 전부터 사람이 살았음을 입증하는 조개무지가 있으며, 가야 시대의 고분도 있다. 임진왜란 때는 왜성이 축조됐으며 러일전쟁 때는 일본군 사령부가 설치되는 등 꽤 파란만장한 역사가 있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