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411
관리자 2022-12-15 14:50
‘국민보도연맹 학살 사건’은 한국전쟁 초기 국가가 저지른 대표적인 민간인 학살 사건이다. 국민보도연맹(이하 ‘보련’)은 1949년 과거 공산(사회)주의 단체에 가입했던 사람이나 그 산하 조직의 집회에 참석했던 사람들을 ‘구원한다’는 취지에서 결성된 전국적인 관변 단체이다. 그러나 전쟁 직전 내무부는 각 지역 보련에 인원을 할당해 강제 모집하면서 사상과 이념에 상관없이 가입하도록 허용했다. 이에 따라 판검사와 군인, 경찰, 우익 단체 간부 등 시쳇말로 ‘힘 있는 사람들’이 조직의 간부 자리를 차지했으며, 힘없는 서민들은 이곳에 들어가야 보리쌀도 먹을 수 있다는 소문에 자진 가입했다. 부산에서 이 단체에 가입한 민간인은 부산시인민위원회 의원들과 그 산하의 농민, 노동, 학생, 여성 등 각 부문별 대표자와 조직원, 우익 단체 조직원들까지 포함되었다. 부산 지역 보련은 1950년 1월까지 조직 결성을 마치고 매월 각종 반공 강연이나 문화예술 행사를 실시하고 정기 훈련도 계속했다. 그러나 한국전쟁 발발 직후 부산 관할 경찰서는 훈련이나 강연을 핑계로 보련에 가입한 사람들을 불러내 감금하기 시작했다. 일명 예비 검속이다. 그해 7월부터 9월 사이 부산형무소에 감금된 사람들은 한국군 방첩대와 군 헌병·경찰에 끌려 사하구 구평동 동매산, 해운대구 장산골짜기에서 집단 총살되었다. 일부 사람들은 오륙도와 청사포 인근에서 수장되었다. 특히 7월 말부터 8월 초에 부산형무소와 부산수상서(현 영도경찰서) 등은 선박(복시환)을 이용해 대마도 앞바다에 수장하기도 했다. 피학살자들은 재판도 없이 총살 또는 수장되었고, 2009년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에서 진실 규명 판정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