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부마항쟁 (차성환)

조회 352

관리자 2022-12-15 14:55

차성환
민주주의사회연구소 연구위원
부산 광복동에 나타난 탱크.
사진: 정광삼( 부산일보 기자).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제공.
 
부산(釜山)이란 이름은 가마솥을 뜻한다. 가마솥은  뜨거운 아궁이 위에서 무엇을 끓인다. 부산이라는 가마솥 가운데 살고 있던 부산 사람들이 가장 뜨겁게 끓어올랐던 역사가 있다. 이름하여 부마항쟁이다. 독재자 박정희의 철권 통치가  나라를 으스스한 공포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던 시절, “유신 철폐!” “독재 타도!” 외침이 남도(南都) 부산에서 울려 퍼졌다. 정치에 대한  한마디 하려면 주위를 살펴야 했던 시절,  외침은 사람들의 가슴에 뜨거운 불을 지폈다. 대학생들이 시작한 외침에 사무실의 직장인들이, 공장의 직공들이, 노점상들이, 술집 종업원들이, 운전기사들이, 선원들이, 재수생들이, 고등학생들이 화답했다. 외침이 메아리가 되어 거대한 가마솥을 달구었다. 부산의 도심은 들끓는 인파의 바다가 되었다. 1979 10 16일과 17 가마솥의 물이 끓어오르자 10 18 자정, 박정희는 공수부대와 해병대를 급파해 찬물을 끼얹으려 했다. 그래도 부산 시민들은 맨주먹으로 군인들과 싸웠다. 맨주먹으로 군인들을 물리칠 수는 없었지만 절대로 무릎을 꿇지 않았다. 1,000명이 넘는 시민들이 경찰과 군인들에게 끌려가 곤봉과 군홧발로 매타작당하고 고문을 받았다. 독재 권력이 시민을 이긴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항쟁이 일어난  정확히 열흘 뒤, 박정희는 측근의 손에 처참한 죽임을 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