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471
관리자 2022-12-15 15:07
영도는 부산의 남쪽 해안에 위치한 섬으로, 말을 키우기 좋은 환경이었던 덕택에 목도(牧島)라고 불렸다. 이곳에서 자란 말이 한번 달리면 그 그림자[影]조차 끊어져[絶] 보인다는 뜻에서 절영도(絶影島)라는 명칭이 쓰이기도 했다. 해방 후 행정 구역이 개편되면서 이 섬을 비로소 영도, 즉 그림자의 섬이라고 줄여서 부르게 된다.
한국전쟁 중 임시수도로 지정되면서 부산은 피란민과 이산가족으로 붐비게 된다. 이들은 1934년 개통된 영도대교를 다시 만나자는 약속의 장소로 삼았다. 가족의 소식을 찾아 영도대교 근처로 모여든 사람들이 많아 점바치들이 다리 근처에서 성업을 이루기도 했다. 이외에도 제주 4.3사건을 피해 뭍으로 떠나온 사람들이 주로 영도에 정착하는 등, 타지 출신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이후 영도다리는 안전상의 문제로 철거된 후 2013년 재개통되지만, 한때 이주민들의 구심점이 되었던 것과는 달리 근방의 임차인들에게 퇴거 명령이 내려진 원인이 되기도 했다. 또한, 영도는 국내 최초로 근대적인 조선소가 세워진 지역이었으며, 조선업으로 지역 경제를 이끌기도 했다. 그러나 조선소의 해외 이전에 반발하던 노동자들이 대거 해고되었고, 한진중공업의 고공 투쟁과 희망버스 같은 복직을 위한 움직임이 일어났다. 이처럼 영도의 역사에서 이주와 노동을 빼놓을 수는 없지만, 개발이라는 명목하에 이주민과 노동자는 때때로 그림자처럼 가려지곤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