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6 Business As Usual: "The Tower"

조회 18,053

관리자 2016-08-22 16:42

작가폴케르트 드 융
특별전
폴케르트 드 융, <Business As Usual: "The Tower">, 스티로폼, 유색 우레탄폼, 진주 ,200x104x149cm, 2008 ⓒ James Cohan Gallery New York, Fons Welters Gallery Amsterdam, Studio Folkert de Jong Amsterdam

폴케르트 드 융, <Business As Usual: "Double Happiness">, 스티로폼, 유색 우레탄폼, 300x100x100cm, 2008 ⓒ James Cohan Gallery New York, Fons Welters Gallery Amsterdam, Studio Folkert de Jong Amsterdam

폴케르트 드 융, <Early Years> 스티로폼, 유색 우레탄폼, 가변크기, 2008 ⓒ James Cohan Gallery New York, Fons Welters Gallery Amsterdam, Studio Folkert de Jong Amsterdam

폴케르트 드 융, <Operation Harmony>, 스티로폼, 유색 우레탄폼, 진주, 340x700x230cm, 2008 ⓒ James Cohan Gallery New York, Fons Welters Gallery Amsterdam, Studio Folkert de Jong Amsterdam

폴케르트 드 융
Business As Usual: "The Tower"
Business As Usual: "Double Happiness"
Early Years
Operation Harmony

폴케르트 드 융의 작업은 심리적, 신체적인 인간의 조건에 대한 관심에서 착안한 표현적 조각인 동시에 설치 작품이다. 드 융은 문화적 상징이나 역사적 인물을 새롭게 살펴보거나 현존하는 서사를 변형시키는 조각의 잠재력에 관심을 가진다. 그는 특히 캔디색의 폴리우레탄이나 스티로폼과 같은 단열재를 사용하여 그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구성하는데, 이러한 재료의 선택은 단순히 반계급주의적 표현은 아니다. 이 재료들은 근본적으로 환경에 매우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오염물질들이다. 2016부산비엔날레에 소개되는 작품 4점은찰스 다윈의<인간의 유래>(1870)와 알베르카뮈의 <시지프 신화>를 바탕으로 한다. <Operation Harmony>(2008)는 마치 살아있는 주검처럼 공간을 가로지르며 늘어져 있는 새까맣게 타고 훼손된 신체를 고정시켜 갈등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Early Years>(2008)에서 내포하고 있는 유인원의 순환은 유인원에서 인간으로의 진화가 아닌 단순한 움직임을 묘사하고 있다. <Operation Harmony>(2008)의 핑크색 틀은 일련의 역사적 사건에서 가져온 단편일 수도 있고, 유인원 타워는 ‘나쁜 것은 듣지도 보지도 말하지도 마라’ 는 윤리에 대한 어떤 시도일 수도 있다. <Double Happiness>(2008)는 인류가 자신들의 독창성과 고유성에 대해 착각하고 있다는 생각에서 파생한 작품이다. 점성학에서 그 상징적 의미를 가져온 두 마리의 흰 원숭이들은 인간이 과소평가하는 자연을 나타낸다. 원숭이들은 인간이 지구의 일부가 되기를 배우고, 유약함과 유한함을 받아들여야 할 때에 오히려 그 자연적 순환을 탈피하고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 믿음이 얼마나 불합리한지를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