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6 투명 풍선과 누드

조회 19,406

관리자 2016-08-23 11:01

작가강국진,정강자(퍼포머, performer),정찬승
본전시

정강자, <강국진, 정찬승, 정강자의 투명 풍선과 누드>, 모델, 투명풍선, 존 케이지의 음악, 행위, 7분 14초, 1968(2016 재연)


[한국]
강국진,정찬승,정강자(퍼포머,performer)
투명 풍선과 누드

정강자는 1967년 《신전》동인의 일원으로 《청년작가연립 전》, 《제4집단》의 회원으로 활동했다. <투명풍선과 누드>(1968.5.20)는 한국최초의 누드 퍼포먼스로, 당시 청년문화의 중심지였던 무교동 음악다방 ‘세시봉 C'est Si Bon’에서 행해진다. 존 케이지의 전위음악이 흐르는 실내공간에서 관객들은 그녀의 누드에 투명풍선을 불어 부착시키고 이를 눌러 터트리도록 하는 단순한 내용인데 여성의 육체를 판타지적으로 해석하는 남성들의 시각을 와해시킨 참여형 퍼포먼스이다. 이 프로젝트는 기성의 남성중심적 세계와 가치관에 도전하는 강렬한 페미니즘적 주장을 드러내고 있어 미술사적 의미를 가진다. 이번 전시에서는 당시 사진으로 밖에 남아있지 않은 해프닝 전모를 작가 정강자의 고증을 통해 재연한 동영상을 보여주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