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6 대비판: 카시오

조회 15,736

관리자 2016-08-23 14:35

작가왕광이
본전시
왕광이, <대비판: 카시오>, 캔버스에 유채, 150x120cm, 1993  © Wang Guangyi Studio

왕광이, <검은 이성 -  병리분석>, 캔버스에 유채, 75x85cm, 1987  © Wang Guangyi Studio





왕광이, <퀵드라이 공업페인트로 덮은 명화 1-5>, 혼합 재료, 20x16cm/ 20x16cm/ 20x18cm/ 19x23cm/ 18x25cm, 1989  © Wang Guangyi Studio









왕광이, <퀵드라이 공업페인트로 덮은 명곡 1-9>, 혼합 재료, 29x21cm x 9 panels, 1989  © Wang Guangyi Studio

[중국]
왕광이
대비판: 카시오
검은 이성 - 병리분석
퀵드라이 공업페인트로 덮은 명화 1-5
퀵드라이 공업페인트로 덮은 명곡 1-9

85신조 중 북방예술그룹의 멤버로 90년대 정치 팝을 대표하는 작가인 왕광이는 저장미술대학 재학당시 서양의 고전미술과 철학에 심취했다. 이는 그의 작품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가려진 고전의 정신을 차갑고 엄숙한 방식을 통해 화폭에 담았다. 1980년대 말 냉전시대의 종료와 중국 사회의 변화는 사람들로 하여금 그들이 이상향으로 생각했던 정치와 문화에 대한 의구심을 갖게 되었다. 「퀵드라이 공업페인트로 덮은 명화」와 「퀵드라이 공업페인트로 덮은 명곡」은 이러한 의구심을 바탕으로 작업한 것으로 인문과 이상에 대한 열정이 산업과 자본에 덮여 보이지 않게 되는 것에 대한 불안함을 들어낸다. 왕광이 정치 팝의 대표시리즈인 <대비판>은 문화혁명시기 군중들의 대비판관련 홍보포스터와 국제적으로 유행하는 브랜드를 함께 배치하여 자본주의적 풍조에 물든 중국의 이미지를 표현한다. 이는 민감한 정치경제적 부분을 위트있게 건드리고 발상을 전환하는 뒤샹식 표현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