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6 낙동찌누

조회 20,800

관리자 2009-08-26 16:18

작가요도가와 테크닉
요도가와 테크닉에겐 일본 오사카의 요도가와 강 천변이 그들의 거주지이자 작업장이다. 강가에 버려진 쓰레기들이 작품의 재료들이고 갈대밭 천변 부지가 그들의 전시장이 된다. 그들은 요도가와 강을 찾는 인근 주민들을 대상으로 우스꽝스러운 퍼포먼스를 펼치기도 하지만 그들에게 정작 중요한 것은 사람들과의 대화이자 소통이다. 천변의 소외된 이웃들은 강 건너 오사카 중심의 번화한 상업 ‧ 금융 지역을 뒤로 멀리하고 펼쳐지는 불꽃놀이에 환호하는데, 이들의 모습은 도시의 양극화라는 개념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강한 정서적 호소력을 발산한다. 2005년 이미 부산을 다녀간 이들은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했다. 그들이 머무르며 작업하게 될 부산의 낙동강 하구 주민들과 어울리고 소통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