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6 지속되는 현재 파빌리온의 도시

조회 19,862

관리자 2009-08-26 16:36

작가크리스티나 솔로무카
크리스티나 솔로무카의 작업과정은 도시적 풍경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의미를 분석하는 데서 시작된다. 그녀의 작업은 모형, 드로잉, 설치, 비디오, 슬라이드 쇼, 공공 공간에 대한 개입 형태로 유토피아적 상황과 건축적 프로젝트를 제시한다. 유머, 과장, 혼성화는 작가가 유토피아에서 이탈한 현재의 상태를 정점에서 밀어붙이게 하는 방식이고, 그러한 이탈에서 보이는 결점에서 새로운 유토피아를 개시하는 것이 가능한지 가늠하는 방식이다. 솔로무카는 가장 최근에 실현한 작품들에서 모순되고 파편화된 영역-우리가 주민이기보다는 오히려 승객으로 존재하는 사적인 것과 공적인 것 아이의 매개 공간인 통행 공간-에 대한 전망을 제공한다. 솔로무카는 부산비엔날레를 위해 비엔날레의 개념을 참조하면서 미스 반 데어 로에의 건축에서 영감을 얻은 파빌리온을 우리에게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