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6 잠시

조회 20,374

관리자 2009-08-26 16:42

작가방크말벡라우
방크말벡라우는 론 방크, 크리스티나 말벡, 탄자 라우 세 명의 아티스트로 결성된 덴마크의 그룹이다. 이들은 타일, 인쇄용지, 마분지, MDF와 같이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을 이용하여 섬세하면서도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오브제, 배너, 판화, 콜라주 등을 만들어낸다. 방크말벡라우는 바로크 양식, 또는 르네상스 양식과 같은 역사적으로 독특한 재현 방식들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외관상으로 그들의 작업은 이러한 여러 미술사적 양식들이 서열 없이 패턴으로 전시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 내부에 혼합되어 있는 여러 현대의 일상적인 사물의 이미지들, 그리고 시점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그래픽적인 표현은 관객의 지각 가능성을 시험하는 시각적 속임수를 구사한다. 이들의 작업은 이처럼 사회 문화적인 엠블렘들과 의미의 수수께끼들로 화려하게 채워져 있는 한편, 형식적으로는 단순하고 명백해 보이기도 한다. 이 두 형태적인 긴장이 방크말벡라우가 만들어 내는 의미의 게임을 증폭시키는 요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