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6 이동극장

조회 19,663

관리자 2009-08-26 17:07

작가욥 퀼레빈
“Sometimes you lose your sense of the difference between reality and fiction” - Job Koelewijn
욥 쿨러바인은 일상의 사건과 사물을 낯선 장소와 용도로 치환 시켰을 때 느끼는 새로움을 통해 시적인 경험을 이끌어낸다. 그는 시각뿐 아니라 청각, 후각 등 다양한 감각적인 경험을 일상적 소재들과 함께 전시장 또는 야외 공간 안에 복합적으로 구성한다. 이를 통해 관객은 언어로 명확히 설명하기 힘든 현실과 가상의 경계들, 일상 생활에서 때때로 고개를 드는 불확실하고 투명한 영역을 느낄 수 있다.
부산 비엔날레에 선보이는 작품 는 극장의 내부 디자인을 가지고 있는 컨테이너 박스 형태의 작품이다. 통상 스크린이 위치해야 할 장소는 외부를 향한 뚫린 창이며, 내부에 있는 관객들은 바깥의 풍경을 바라보면서 스피커를 통해 외부의 소리를 듣는다. 이 작품은 외부의 현실과 극장이라는 픽션의 세계가 중첩되는 낯선 경험으로 이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