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8 이중 그림자

조회 18,321

관리자 2009-08-27 16:03

작가허구영
지금도 여전히 유효한 지난 나의 언술 두 가지
1. 작품은 더 이상 내가 아닌, 내가 끼어들 틈이 없는 그 나머지로 남아야 할 것이다. 그것은 더 이상 언어도, 대상도, 이미지도 아닌 것으로, 다시 말하면 비언어(非言語)적인, 비대상(非對象)적인, 비사상(非事象)적인 것으로서 이들끼리 서로 나누어 갖도록 하는데, 그래서 나에게는 언어도, 대상도, 이미지도 필요했던 것이다. 이 사이를 서로 오가며 한없이 표류하는 것... 나는 그 곳에서 무엇을 구하려는 것이 아니라, 나를 놓아주는 허용의 가벼움을 배운다.(1994. 9)
2. 시간이란 마치 겹겹이 쌓여져서 누적된 주름의 다발과도 같다... 시간은 순간과 순간, 차이와 차이의 경계 사이에 놓여지는 틈이나 간격이나 여백에 위치한다.(1997. 9)
이번 작품은 실공간에 몇 가지 사물과 오브제를 설치한 이후, 이것들이 드러내는 그림자를 따라 드로잉을 행함으로써 비로소 완결된다. 이것은 그림자가 드러내 주는 위상학적인 변형에 대한 흥미로부터 기인한 것이며, 물질적인 세계와 대척점을 이루는 동시에 쌍을 이루는 비물질적이고 비고정적인 세계에 대한 관심의 표명이다. 나는 이 드로잉에서 대상이 사라져 버리거나 부재할 것 같은 불안감으로부터 비롯된 소유에 감정 같은 것을 느끼게 되는데, 이것은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로 강화되어 다가오는 후발적인 경험의 결과이다.
-「작가 노트」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