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8 슈퍼오브제

조회 18,847

관리자 2009-08-27 16:45

작가김범수
‘자화상’이란 그 제작과정이 복합적이고 회귀적인 작업에 적절한 제목이다. 여기서 김범수가 말하는 \'자화상\'은 작가의 회귀(回歸)적인 사진작품과 잘 어울리는 명제가 되고 있다. 초상 과정이란 개념 안에서, 작업은 연작으로 진행되며 여기서 각 연작들간의 형식적이고도 명백한 동일성은 자화상의 주제를 정확히 보여준다. 주제에 관련된 이 회귀성은 본질적으로 작가의 시선만큼이나 모델의 시선, 그리고 세계에 대한 성찰로부터 유래한다. 관객이 보는 것 : 우리는 기이한 대상들처럼 굴절된 똑같은 형상이 연속적으로 구성되고 있음을 본다. 바로 시선이 모이는 얼굴이다. 그런데 작가는 어떤 얼굴에 관한 문제를 다루고 있는 것일까?
시오랑의 해석으로 본다면 김범수의 사진 작품들은 거울 반사적인 분해에 따라 재구성된 것이다. 그것은 바로 지금 시작된 여정의 실마리와 모든 인간의 운명을 예견하기도 한다. 장 스타로뱅스키는 익살스러운 작가의 초상들로 재현된 이 자화상들은 빈정거림이 두려운 이상한 감정들로 확대(증폭)된 의문의 초상들이라고 표현한다. 확고한 대조를 이루는 위의 다양한 형상들과 재료들은 김범수의 사진 작품들에서 보여지는 우연한 상황들과 수집, 조합(혼합) 작업들을 완성한다. 그것은 우리가 사는 삶과 죽음 사이의 모든 장소(공간), 모든 시간, 모든 문화 안에서 다시 만난다.
- 베르나르 제르보, 2000.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