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8 표류

조회 19,594

관리자 2009-08-27 17:15

작가필립 테리에-에르만
이 비디오 작품은 최대한의 낭만적인 매력을 표출하며 사회적 표류라는 알레고리를 제안한다. 이 작품은 성공이라는 문화에 의해 길들여진 두 젊은이와, 허무주의적이며 탈물질적인 사회적 비전을 구현하고 있는 두 남자 사이의 만남에 관한 것이다.
이 작품은 영웅과 패배자 사이에 존재하는 좁은 경계, 즉 우리 자신이 대상을 식별하는데 어려움을 격을 수 있는 경계로 접근한다. 이 두 남자는 메시아인가 혹은 빈곤에 허덕이며 방황하는 사내들인가? 서술의 해체 과정 상에서 제작된 이 영화는 첫 부분에서는 긴장감을, 두 번째 부분에서는 뻔뻔스러움을, 그리고 결론에서는 회화적인 이미지의 해체에 근거하여 극단적인 박탈감을 제시한다. 이 장면은 노르망디 루엔 미술관에 전시되었던 에바리스 루미네의 <쥐미에쥬 수도원의 희생자(Les Eneves de Jumieges)>에 의해 영감을 받은 것이다.
이러한 표류처럼 사람들의 주목 속에서 서서히 죽어가는 것은 소극적인 자살의 정점이다.
결국은 희생하게 될 이 영화의 주인공은 조르주 바타이유가 저술한 『저주의 몫(The Accursed Share)』의 어떤 구절들, 특히 인간의 희생, 아름다움, 화려함, 포틀래치 등에 관한 이야기들을 연상시킨다.
-「작가노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