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0 1. 시퀀스 하나 - 네 개의 움직임 2. 시퀀스 둘 - 한 개의 움직임

조회 14,555

관리자 2011-04-11 22:35

작가도아 알리
알리는 영상과 회화, 드로잉 등 다방면의 미디어를 구사하여 작품을 제작하고 있는데, 그녀가 특히 주목하는 것은 신체의 움직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제작하고 있는 영상작품에서는 몸동작과 춤 그리고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패션 등을 통해, 현대사회에서의 개인의 역할, 젠더의 의미 그리고 과거와 현재에 걸친 인간존재의 변천 등을 환기시킨다.
그녀의 영상작품에 등장하는 무대와 등장인물의 몸동작들은 고전문학과 민화 등에서 영감을 받은 것들이 많다. 출품작품 또한 오비디우스의 시집, 『변신』에서 그 아이디어를 얻고 있다. 변신의 시알리는 영상과 회화, 드로잉 등 다방면의 미디어를 구사하여 작품을 제작하고 있는데, 그녀가퀀스들은 무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도 보는 이로 하여금 일정한 리듬을 느끼게 하는데, 그것은 알리의 안무로 구성된 젊은 이집트 남성의 춤 때문일 것이다. 특히 그녀의 작품에서는 오비디우스의 시를 해석했다는 측면뿐만 아니라, 현대로 이어지고 있는 남성성 혹은 남성의 욕망에 대한 깊은 고찰을 시도했다는 측면 또한 내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