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0 1. 떠도는 섬 - 말 2. 부유하는 섬 -낙타

조회 12,932

관리자 2011-04-11 22:58

작가정진윤
정진윤은 격변했던 1980년대 한국의 시대상황에 대립하는 상징적이고 날선 작업들에서부터 90년대를 거치며 역사와 시대의 문제를 넘나들며 비판적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집요하게 현실을 응시했던 작가이다. 그는 작가로서의 창작 활동뿐만 아니라 1984년 오늘날의 대안공간 성격인 <사인화랑>의 개관과 운영에 참여하였고 부산비엔날레의 전신인 <부산청년비엔날레>의 운영위원장을 맡기도 하는 등 지역의 미술실천가이기도 하였다. 그는 민중미술과 차별성을 보이는 형상성이 강한 새로운 미술양식, 통칭 80년대 ‘부산 형상미술’의 태동과 형성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그 스스로 대표적인 부산의 형상미술작가이기도 하다.
이번에 출품되는 <떠도는 섬-말>과 <부유하는 섬-낙타>는 1999년 작으로 이동과 소통의 수단이기도 한 두 동물들의 정지된 형상에서 역사 속에서 부유하는 유목적 존재의 고착된 상황을 드러내고 있다. 그의 다른 작업과 달리 다중분할과 색감이 절제된 화면에는 차가운 금속성 재료로 기하학적 형태들이 결합되어, 부유하는 현실과 역사의 이면이 미묘하게 교차하고 있다. 그의 고지도 작업 시리즈 위에 중첩되어 그려진 돌기둥(석주)이나 돌의 파편의 단순화된 형상과 닮아 있기도 한 이러한 기하학적 도상은 공교롭게도 말과 낙타의 등 부위에 마치 한쪽 날개처럼 위치하고 있는 것은 우연일까. 그의 작업은 모순적 시대와 역사를 대면하는 현실과 개인의 상황을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상징적 언어로 나타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