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0 울트라-블랙 썬

조회 12,728

관리자 2011-04-11 23:08

작가야노베 켄지
야노베의 창조의 출발점은, "미래의 폐허"이다. 1970년 3월부터 약 6개월간, 오사카에서는 당시 일본 최초의 국제 박람회인 “일본 만국 박람회(Japan World Exposition)”가 개최되었다. “인류의 진보와 조화”를 테마로 열린 이 만국 박람회는 곧 도래할 “인류의 미래”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들로 가득 차있었고, 그것은 고도 경제 성장기를 맞이한 일본인들의 꿈과도 일치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야노베가 실제로 당시의 만국 박람회를 볼 수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가 만국 박람회장 근처에 이사해 온 것은 박람회가 열린 그 다음해인 1971년의 일이었다. 그 때 박람회장은 이미 대규모 철거작업이 한창이었고, 희망에 가득 찬 “미래”에 대한 아이디어들이 무참히 파괴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한 광경은 당시 여섯 살이었던 야노베에게 "미래의 폐허"라는 강렬한 인상을 주었다.
2009년에 제작한 <울트라-블랙 썬(ULTRA-Black Sun)>은 다시금 “초월적 조각 작품”으로 그가 회귀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지금까지 보아 왔던 그의 내부의 이야기에서 조금 벗어나는 것으로서, 그 자신도 ‘왜 이것을 제작하려 했는지 모르겠다’고 한다. 그러나 목적을 잃은 듯 방장, 방전하며 일종의 공포를 자아내게 하는 이 작품이야 말로, 그가 추구해온 자연과학과 논리, 그리고 조형성에 숨겨져 있는 "폭력성"을 가장 솔직하게 체험케 해주는 작품이자 장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