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0 독신자의 침대

조회 12,160

관리자 2011-04-11 23:08

작가이기봉
이기봉은 시각과 지각을 통해, 철학적 그리고 과학적 사색을 불러일으키는 작가이다. 그의 평면작품과 입체작품에는 모두 어떤 자연적 요소가 등장한다. 그것은 나무와 호수 등 구체적인 자연이기도 하며 그와 동시에, 눈앞에 펼쳐지는 물의 흐름, 피어오르는 안개, 열의 방사 등의 자연 현상이기도 하다.
한편, 입체작품인 <독신자의 침대(The Bachelor’s Bed)>의 안개는 직접 눈앞에 보여지는데, 언뜻 보기에는 싱글베드 정도 크기의 물체가 마냥 놓여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가까이서 보면 그 표면에 안개가 분출하여 구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구름 내부에는 붉은 레이저 선이 한 가닥 보이는데, 그것이 보이는 찰나, 구름은 순식간에 사라지고 만다. 침대 위에서 펼쳐지는 이러한 현상은 마치 새로운 세계가 생성되려 할 때마다, 그것을 허락하지 않는 누군가가 모든 것을 사라지게 하는 것 같다.
타이틀에서 볼 수 있는 "독신자(Bachelor)"라는 단어는 “독신 남성(single man)”이라는 뜻이 있는데, 그것을 말 그대로 해석한다면, 고독한 독신 남성이 밤마다 상상하는 것들과 그것들을 금하려는 상반되는 심리상태를 표현하고 있는 것도 같다. 그러나 옛부터 창조물이라는 것은 욕망에서부터 태어나는 것이며, 그 욕망을 일으키는 것은 바로 “결핍”이다. 그렇다면 이 “세계” 또한 “창조주”의 결핍을 채우기 위해 만들어진 것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