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0 공기의 노래

조회 10,756

관리자 2011-04-11 23:09

작가코마츠 코세이
코마츠가 제작해 온 작품들의 특징은 자연계의 미세한 움직임을 가시화 하는데 있다. 그의 작품은 외견상으로는 매우 단순해서 그 안에 숨어있는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잊게 만들 정도로 그 움직임이 가볍다. 그의 목적은 새로 개발한 테크놀로지를 자랑하듯 소개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러한 테크놀로지에 묻힌 지금, 우리가 잊고 있는 향수와 기억 등에 호소하고 있는 것이다.
작품 <라이프 로그_공기의 노래(Life Log_Air’s Song)>은 특히 코마츠의 생명에 대한 시적인 사색을 표현한 작품이다. <라이프 로그_공기의 노래>작품을 비롯해서 그가 지금까지 사용해 온 소재 중 하나는 새의 깃털이다. 그 작품에는 여러 개의 투명한 원통 케이스 안에 깃털이 하나하나 소중한 듯 들어 있다. 그리고 어느덧 원통 케이스 내부의 깃털들이 일제히 떠올랐다 천천히 가라앉기를 반복 하는데, 그것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공기 제압기의 풍압을 세밀히 제어, 조절하기 때문이다. 타이틀의 일부인 “로그(Log)”는 컴퓨터 용어로서, “기억”이라는 뜻을 가진다. 깃털 또한 DNA로써, 생명의 기억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코마츠는 생명체에서 분리되어 때로는 장식품으로도 활용되는 깃털들로 하여금, 다시 한 번 그 본래의 기능을 되찾게라도 하려는 듯 그 깃털들을 공기의 흐름에 내맡긴다. 공기 중에 부상하는 깃털들은 그것들이 본래 생명체의 일부였다는 것을 상기시켜주며, 가라앉아 가는 깃털들은 생명체에서 분리된 상태, 즉 죽음을 연상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