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0 인간 심장이 24시간에 7000리터의 피를 사출하는 것을 기준으로 이 조각은 1시간 28분 동안 사출된 피의 양을 재현합니다

조회 15,289

관리자 2011-04-20 22:51

작가로랑스 데르보
이번 출품작 가운데 하나인 <인간 심장이 24시간에 7000리터의 피를 사출하는 것을 기준으로 이 조각은 1시간 28분 동안 사출된 피의 양을 재현합니다.-By means of 7000 litres of blood pumped by the human heart in 24 hours, this sculpture represents the quantity of blood pumped in 1 hour and 28 minutes>는 다양한 종류의 유리 용기들을 여러 층으로 쌓아 만든 조각이다. 약 800여개의 용기들은 밝은/어두운 아니면 맑은/탁한 상이한 색조의 혈액을 담고 있다. 일반적으로 밀폐된 용기 안의 응축되어 가는 혈액은 끔직한 느낌을 주지만 이 조각에서는 철저하게 물상화됨으로써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외양의 대상으로 변모한다. 약 3m 50cm 정도의 높이의 유리탑은 모뉴멘트와 같은 현전으로 드러나지만 그 견고해 보이지 않는 탑의 축조방식은 보는 이에게 불안감을 조장한다. 또 다른 출품작 <무제>는 집 모양의 설치작품이다. 전시장 안에 들어서면 문이 보이지 않는 집 모양의 구조물이 있다. 관객들은 구조물의 반대방향으로 돌아가 작은 문을 발견하게 되고 그 안에서 어두운 조그만 방을 만나게 된다. 방안의 중앙에 위치한 좌대 위에는 두개골이 놓여있고 그 정수리 부분에 뚫려있는 구멍들 사이로 빛이 새어 나오고 있다. 새어 나온 불빛은 어두운 방의 천장 위에 <작은 곰>자리의 형태를 투사한다. '바니타스'의 상징인 두개골은 일반적으로 인간 생명의 덧없음을 의미하지만 여기서는 별자리로 거듭 태어남으로써 영속성을 부여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