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2014부산비엔날레

이전메뉴 다음메뉴
아카이브부산비엔날레2014부산비엔날레작가/작품보기특별전 - 비엔날레 아카이브展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4 중국풍 “이후” (어둠 감지하기III)

조회 15,573

관리자 2014-09-16 13:32

작가에리카 탄(닐 로즈와 협업)
특별전 - 아시안 큐레토리얼展


2011
Single channel HD Video
5’40”

중국풍 “이후” (어둠 감지하기III) 

세계의 질서가 변하면 문화적 지배의 상징은 어떻게 될까? 이 프로젝트는 다양한 서사적 도구를 사용하여 독립 이후 간척에 관한 이야기를 서술한다. 작품은 이야기나 역사가 비화 및 서사, 사건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영국 영주의 주택 살트램 하우스 (내셔널 트러스트 소유)를 배경으로 영상은 ‘그리 멀지 않은 미래’, 즉 글로벌 강국으로 부상한 중국이 역사를 다른 방법으로 해석할 수 있게 된 시점에서 진행된다. 영화의 장면들과 다큐멘터리를 혼합하고, 힙합과 시누아즈리의 미학을 오려 붙인 살트램 하우스는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를 매끄럽게 변화시켜 우리와 유관하게 만들고, 문화의 중심으로 강화시킨다. 과거에 있었던 사건에 대한 참고 자료와 새로이 발견되는 고고학, 끊임없이 다시 나타나는 영화적 망령 (이안의 센스 앤 센서빌리티가 1995년 이 곳에서 촬영되었다), 상대적 위치 선정의 재연 등이 나타난다. 

잊혀지다 (I, II, III) 는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살트램 하우스에서 고립된 ‘봉인된’ 내부 공간에서만 촬영한 2 가지 채널의 설치 작업이다. 주류 밀매; 그리고 최종 작업에는 인용 및 재생, 모방, 해적 행위 등으로 역사의 지속성에 대해 고찰하고 풀어낸다는 것의 불가능함을 보여주는 방직 모티프를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