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2014부산비엔날레

이전메뉴 다음메뉴
아카이브부산비엔날레2014부산비엔날레작가/작품보기특별전 - 비엔날레 아카이브展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4 Viktor Tsoi’s Archive

조회 17,603

관리자 2014-09-16 13:46

작가빅토르 최
특별전 - 아시안 큐레토리얼展


2014
Video

Viktor Tsoi’s Archive

빅토르 최는 1962년 소련 카자흐 소비엔트 사회주의 공화국 키질로르다 주 키질로르에서 고려인 2세인 아버지와 우크라이나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고려인 3세 음악가다. 1990년 교통사고로 사망하기 전까지 레닌그라드 언더그라운드 락 음악 신에서 실험적 가사의 음악을 만들었고, 당시 소비에트 인민들의 공감을 얻는다. 1982년 키노(KINO)라는 밴드를 결성하여 첫 앨범 45(소로크 피아트)를 발표하는데 이 앨범에는 평화를 기원하는 정치적 의지가 담겨 있었다. 앨범 수록 곡 중 <외곽 전철>은 전철 속사람들 틈에서 가고자 하는 곳에 가지 못하고 어디론가 강제로 이동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노래했다. 이 노래는 당시 저항 운동에 많은 영향을 미쳤고, 빅토르 최는 젊은이들의 우상으로 떠오르게 된다. 1987년 7집 앨범 <혈액형>은 소련 사회의 여러 문제를 다룬 새로운 형식의 음악으로 빅토르 최의 키노를 영웅으로 등극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빅토르 최는 한국 이산인(Korean Diaspora)으로 러시아의 우상, 영웅으로 추앙 받았던 인물이다. 예술 학교에서 수학하기도 했고, 음악과 미술, 영화 등 많은 분야에서 활동했다. 그의 노래 <외곽 전철>은 이번 '아시안 큐레토리얼'전의 주제인 '바다'와 '부유'의 개념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작품으로 빅토르 최와 다른 이산 작가들을 통해 우리의 삶 또한 여기에 머물러 있지만 어떠한 힘에 의해 정해진 한 점으로 흘러가는 것은 아닌지를 질문하는 계기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