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16,752
관리자 2014-09-17 19:20
Oil on canvas
112x145.5cm
동시성 69 – I
오리진, 그 후
조선일보에 단적인 예로 이것도 그림인가. 자로 대고 그린 그림, 빨간 색 노란색 흰색의 그림. 벌거벗고 뛰는 그림. 연탄이 있는 그림. 이렇게 했을 정도로 굉장히 화단의 큰 쇼킹을 줬는데 그것이 그 당시에는 그렇게밖에 받아들여질 수 없었다. 우리 현대 미술에 없었던 거니까. 그리고 여태껏 우리가 봐 왔던 미술이라는 것은 아카데미즘적인 사실주의 계통, 산수화라던가 꽃이라든가 장미라든가 풍경이라든가 이런 것만 봐 왔던 그림, 따뜻한 온실의 그림, 또는 있는 대로 보여진 그림만 그려왔었고, 현대미술이라는 것은 뿌려진 그림, 던져진 그림, 시커먼 그림, 소위 6.25 전쟁이나 제2차 세계대전을 통한 아주 처절한 그런 그림만 봤다가 이처럼 명쾌하면서도 밝고 깨끗하고 기하학적이면서도 원색적인 것을 들고 나오니 그때는 굉장히 새로웠던 것이다. 또 물질이라든가 물색이라든가 해프닝을 처음 들고 나오니 그때의 화단에서는 현대미술이라는 것 자체의 새로운 시각과 경이와 한탄과 함께, 또 하나는 이 작가들이 이 청년들이 과연 어디로 갈 것인가라는 이목을 가져오기 시작하지 않나 이렇게 우리는 평가하고 그것이 우리 한국 현대미술의 하나의 계기가 됐다고 나는 생각한다.